본문 바로가기
트렌드/사회 이슈

대통령의 정권 유지를 위한 비상계엄령 : 개념, 예시, 그리고 행동 요령

by ❤👍🤣👍 2024. 12. 4.
반응형

대통령의 정권 유지를 위한 비상계엄령: 개념, 예시, 그리고 행동 요령

1. 비상계엄령의 다른 얼굴 : 권력 유지를 위한 도구

 

 비상계엄령은 원칙적으로 국가의 안보와 질서 유지를 목적으로 하지만, 일부 지도자들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거나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악용한 사례도 있습니다. 이러한 비상계엄령은 국가의 위기가 아닌 정치적 불안이나 반정부 세력의 억압을 명분으로 선포됩니다.

이 경우, 비상계엄령은 국가의 이익보다 특정 정치 세력의 이해관계를 우선시하는 조치로 변질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시민들의 자유와 인권이 심각하게 침해될 가능성이 큽니다.


2. 정권 유지 목적의 비상계엄령 : 예시

1) 필리핀 마르코스 정권 (1972년)

  • 배경: 대통령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공산주의 반란과 혼란을 이유로 비상계엄령을 선포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목적은 자신의 장기 집권과 정치적 반대 세력의 제거였습니다.
  • 결과: 언론이 폐쇄되고 반대 정치인들이 체포되었으며, 마르코스는 헌법을 개정하여 독재 정권을 강화했습니다.

2) 한국의 박정희 정권 (1972년 유신체제)

  • 배경: 박정희 대통령은 '국가 비상사태'를 이유로 계엄령을 선포하고 헌법을 개정하여 대통령의 권한을 크게 강화했습니다.
  • 결과: 국회 해산, 언론 검열, 반대 세력 탄압 등이 이루어졌고, 사실상 독재 체제가 구축되었습니다.

3. 권력 유지를 위한 비상계엄령의 특징

  1. 가짜 명분 제공:
    • 국가 안보, 사회 혼란, 외부 위협 등의 명분을 강조하며 실제 위기 상황보다 과장되게 묘사합니다.
  2. 언론 통제:
    • 독립 언론이 폐쇄되고, 정부가 검열을 통해 여론을 조작합니다.
  3. 정치적 탄압:
    • 반대 세력을 억압하고, 정치적 활동을 제한합니다. 주요 야당 정치인, 학자, 언론인 등이 체포되거나 실종되기도 합니다.
  4. 헌법적 권리 제한:
    • 집회, 시위, 표현의 자유 등 기본권이 제한됩니다.

반응형

4. 정권 유지형 비상계엄령 상황에서 시민 행동 대책

1) 정보의 진위를 파악하라

  • 정부 발표 외에도 외국 언론이나 신뢰할 수 있는 독립적 채널을 통해 정보를 확인하세요.
  • 과장된 위기 상황에 흔들리지 않고 냉정하게 판단하세요.

2) 저항보다는 생존을 우선시하라

  • 정치적 탄압이 심한 상황에서는 직접적인 저항보다는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반정부 활동이 의심받을 만한 행동은 최대한 피하세요.

3) 커뮤니티를 형성하라

  •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과 협력하여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세요.
  • 개인보다 공동체의 힘으로 위기를 헤쳐 나가세요.

4) 안전한 장소를 선택하라

  • 정부의 감시가 심하지 않은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주의를 기울이세요.
  • 온라인에서도 익명성을 유지하며 개인 정보를 보호하세요.

5) 미래를 준비하라

  • 비상계엄령이 해제된 이후를 대비하여, 현재의 상황을 기록하거나 증거를 수집하세요. 이는 이후 정의 구현이나 국제적 도움을 요청할 때 유용합니다.

5. 예시 상황 시뮬레이션

상황: 대통령 A가 반대 세력의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비상계엄령 선포

  1. 명분: "국가 혼란 방지 및 안보 위협 차단"을 이유로 비상계엄령 선포.
  2. 조치:
    • 모든 집회와 시위 금지.
    • 인터넷 검열 강화 및 SNS 차단.
    • 주요 반대 정치인의 체포 및 구금.
  3. 현장 모습:
    • 도심에는 군 병력이 배치되어 무장 상태로 경계.
    • 방송과 언론에서는 정부의 정당성을 홍보하는 내용만 방영.
    • 시민들 사이에 불안과 공포 확산.

시민의 행동:

  • 안전한 공간에서 외출을 자제하고 상황을 관망.
  • 정부 발표를 보며 진위를 의심하고, 국제 언론의 보도를 확인.
  • 장기적인 생존을 위해 식량과 자원을 준비하며 최소한의 커뮤니티와 협력.

6. 시민 저항과 국제적 연대

정권 유지형 비상계엄령이 장기화되면, 시민들은 개인적 생존 외에도 저항과 연대를 고려해야 합니다.

  1. 국제적 도움 요청:
    • 국제 언론이나 NGO에 현재 상황을 알리고 지원을 요청.
  2. 비폭력 저항:
    • 평화적 방식으로 저항하며 정권의 비정당성을 알립니다.
  3. 디지털 익명성 활용:
    • 검열을 피하기 위해 VPN이나 암호화된 메신저 사용.

현재 비상계엄령 상황에서의 시민 대처

현재 비상계엄령이 선포된 상황에서, 시민들은 무엇보다 생존과 안전을 우선시해야 합니다. 정권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권력을 남용하는 상황이라면, 무리한 저항보다는 냉정하게 상황을 관망하며 전략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보의 진위 확인: 정부 발표와 외국 언론, 독립 언론의 보도를 비교하며 사실에 기반한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 안전 확보: 외출을 최소화하고 통행 금지와 검열 등 정부 규정을 지키면서 스스로의 안전을 지켜야 합니다.
  • 연대와 협력: 가까운 이웃이나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과 협력하여 정보와 자원을 나누며 공동체를 형성해야 합니다.
현재의 상황은 공포스럽고 억압적이지만, 시민들은 신중하고 침착하게 대처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국제적 지원이나 협력을 통해 장기적인 변화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