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트렌드
728x90
반응형
26

윤석열 대통령의 2차 비상계엄 가능성, 우리는 경각심을 가져야 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2차 비상계엄 가능성, 우리는 경각심을 가져야 합니다비상계엄과 그 위험성: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위기 2024년 12월 3일, 대한민국 윤석열 대통령은 독단적으로 비상계엄을 선포하려다 실패한 전례가 있습니다. 그러나 대외적인 긴장 상황과 맞물려 다시 한번 2차 비상계엄을 시도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윤석열 정부가 2차 비상계엄을 선포할 수 있는 정황과 그 위험성을 분석하며 국민 여러분께 경고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합니다.왜 2차 비상계엄 가능성이 높아졌는가?대외적 정세 변화중국의 대만 침공 시나리오미국의 주요 싱크탱크는 2026년 말에서 2027년 사이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발발 시점을 정확히 맞춘 분석기관.. 2024. 12. 5.
윤석열 대통령의 '독단적인 비상계엄' 내란죄 적용 가능? 내란죄란? 현재 윤석열 대통령의 독단적인 비상계엄 발표로 대한민국이 난리가 났습니다. 비상계엄에 대해서는 국회의 저지로 무산이 됐지만 자칫 독재정치로 변질 될 뻔한 역사적인 큰 일이었습니다. 비상계엄 해제 이후 윤석열 대통령을 내란죄로 처단해야 한다는 말이 많아 지고 있는데 내란죄가 무엇인지, 내란죄가 성립이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헌법과 형법에서 규정하는 내란죄는 국가의 법질서를 중대하게 위협하는 범죄로, 주로 국가의 안전과 헌정 질서를 파괴하려는 행위를 말합니다. 내란죄는 대한민국 형법 제87조에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내란죄의 정의 (형법 제87조)"국토를 참절(占領)하거나 국헌(國憲)을 문란할 목적으로 병기를 사용하여 정부를 전복하거나 방해하는 행위"를 내란죄로 규정합니다.즉, 내란죄는.. 2024. 12. 4.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선포 대국민 담화 전문 윤석열 대통령은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아래는 대통령의 비상계엄선포 전문을 담은 글입니다.  국민여러분께 호소드립니다. 지금까지 국회는 우리 정부 출범 이후 22건의 정부 관료 탄핵소추를 발의하였으며, 지난 6월 22일에 국회 출범 이후에도 10명 째 탄핵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이것은 세계 어느 나라에도 유례가 없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건국 이후의 전혀 유례가 없던 상황입니다. 판사를 겁박하고 다수의 검사를 탄핵하는 등 사법 업무를 마비시키고, 행안부 장관 탄핵, 방통위원장 탄핵, 감사원장 탄핵, 국방장관 탄핵 시도 등으로 행정부 마저 마비시키고 있습니다.  국가 예산 처리도 국가 본질 기능과 마약 범죄 단속, 민생치안 유지를 위한 모든 주요 예산을 전액 삭감하여 국가 본질 기능.. 2024. 12. 4.
대통령의 정권 유지를 위한 비상계엄령 : 개념, 예시, 그리고 행동 요령 대통령의 정권 유지를 위한 비상계엄령: 개념, 예시, 그리고 행동 요령1. 비상계엄령의 다른 얼굴 : 권력 유지를 위한 도구  비상계엄령은 원칙적으로 국가의 안보와 질서 유지를 목적으로 하지만, 일부 지도자들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거나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악용한 사례도 있습니다. 이러한 비상계엄령은 국가의 위기가 아닌 정치적 불안이나 반정부 세력의 억압을 명분으로 선포됩니다.이 경우, 비상계엄령은 국가의 이익보다 특정 정치 세력의 이해관계를 우선시하는 조치로 변질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시민들의 자유와 인권이 심각하게 침해될 가능성이 큽니다.2. 정권 유지 목적의 비상계엄령 : 예시1) 필리핀 마르코스 정권 (1972년)배경: 대통령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공산주의 반란과 혼란을 이유로 비상계.. 2024. 12. 4.
챗GPT (Chat GPT) 사용 방법/링크 및 리뷰 세계적으로 챗GPT가 이슈가 된지 몇달 된것 같은데 국내에서는 요새 갑자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혁신적인 발전과 더불어 동시에 여러 부작용이 생기고 있는 챗GPT, 무료로 사용가능하니 한번 직접 이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챗GPT 링크 ↓↓↓ 챗GPT(Chat GPT) 공식 홈페이지 링크 ↓↓↓ https://openai.com/blog/chatgpt/ ChatGPT: Optimizing Language Models for Dialogue We’ve trained a model called ChatGPT which interacts in a conversational way. The dialogue format makes it possible for ChatGPT to answer foll.. 2023. 2. 13.
이태원 할러윈 압사 사고 대참사 당시 현장 상황 SNS 영상 모음 10월 29일 늦은 저녁과 30일 새벽 사이, 이태원에서 할러윈 행사를 하기 위해 많은 인파들이 몰렸고 그로인해 좁은 골목과 경사가 심한 이태원 거리 특성상 압사 사고가 발생하는 대참사가 일어났습니다. 최종적으로 153명 사망, 103명 부상을 입었고, 서울 한복판에서의 대참사는 정말 큰 충격입니다. 각종 SNS에서는 당시 이태원 할러윈 참사 당시의 영상들이 제보가 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고화질로 당시 현장의 상황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UA4Md54HhAE?feature=share 아래에 깔려 빠지지 않는 여성분 https://youtube.com/shorts/CeTuS1IjoXo?feature=share 서로 지나가겠다고 힘으로 미는 사람들 ht.. 2022. 10. 31.
망 사용료? SK브로드밴드, 넷플릭스 '오징어게임'으로 돈 벌었으니깐 우리한테도 돈 내라! 간략하게 설명하는 현 상황과 개정안 발의 의원, 정치인 "개인의 뇌피셜이니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마시길 바랍니다" 현재 각종 인터넷 사이트에 알려진 바에 따르면 SK브로드밴드가 정치인을 대상으로 직,간접적인 로비에 의해서 발생했다고 여러 커뮤니티에서 추측하고 있습니다. 왜냐면 망 사용료에 관련해서 말은 많았어도 직접적인 법적 분쟁까지 간 사례는 SK브로드밴드와 넷플리스의 법적 분쟁이기 때문입니다. . 현 상황을 과거부터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1. 이미 유럽에서 한국과 비슷하게 '망 사용료법 개정안 시도' 2. 미국이 경제 보복을 예고하자 유럽은 바로 꼬리를 내림 3. 당시 국내 통신사들 가입자 늘리기 위해 컨텐츠 회사들과 컨택함. 4. SK브로드밴드는 넷플릭스와 계약 체결 5. 점차 OTT 플랫폼(넷플릭스, 디즈니, HBO 등)이 전 세계적으로 흥행하고 기업 가.. 2022. 10. 1.
트위치"망 사용료 때문에 한국 사업 못해먹겠다", 한국만 실시간 스트리밍 수신 화질 1080p에서 720p 전송으로 강제전환 공지 발표! 간단한 설명 및 근본적인 원인 ** 팩트 보다는 직접 공부에서 의견을 끼워 넣은 사설에 가까운 글이기 때문에 감안해서 읽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최근 2022년 9월 29일 아마존의 스트리밍 플랫폼 트위치에서 한국 시청자, 스트리머들에게 한 가지 공지를 하게 됩니다. 요약하자면, 망 사용료 부담으로 인해 실시간 스트리밍 수신 화질을 1080p에서 720p로 낮추겠다는것. 이는 생방송을 하는 스트리머는 기존처럼 1080p로 송출이 가능 하지만, 한국에서 시청하는 시청자의 경우 최대 화질이 720p로 제한이 됩니다. 하지만 외국에서 국내 스트리머 방송을 시청할 경우 1080p로 시청 가능. 즉, 전 세계에서 한국 한정 수신 최대화질 720p가 되는것 입니다. 아니.. 현재 4k 컨텐츠가 대중화 되고 8k 컨텐츠까지 만들어지고 있는 상태에.. 2022. 9. 29.
2022년 할로윈데이 언제일까 / 할로윈 데이 유래와 코스튬 추천 2022년도 참 시간이 빠르게 흘러 어느덧 할로윈을 앞두고 있네요 여러분들은 할로윈 의상 준비 하셨나요?? 할로윈을 앞두고 의상이나 분장 소품들이 인기가 많기 때문에 미리 준비해야 하는거 아시죠?? 할로윈은 '매년 10월 31일' 입니다. 할로윈은 캘트족이 한해의 마지막 날에 죽은이들의 혼을 달래고 악령을 쫓은 풍습이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악령들이 해를 끼칠까 두려워한 사람들이 같은 악령으로 착각하게 만들게끔 자신들도 악령으로 분장하는 풍습에서 유래 됐다고 합니다. 특히 켈트족은 한해의 마지막을 10월 31일로 생각했기 때문에 매년 10월 31일이 할로윈 데이로 자리잡게 됐습니다. 검은색과 주황색이 이 풍습의 상징이었기 때문에 우리가 자주 봐온 주황색 호박을 많이 사용하는거라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2022. 9. 27.